티스토리 뷰

2023년 1월 1일부터 유통기한 대신 소비기한 표시제를 도입했습니다. 기존에 유통기한 적용으로 품질에 이상이 없는 식품이 버려지고 소비자들의 혼란이 가중되는 걸 막기 위해 소비기한 표시제로 바뀝니다. 음식물 쓰레기의 감소, 소비자와 기업의 편익에서 1조 절감 효과가 기대됩니다. 

 

소비기한, 유통기한
소비기한, 유통기한

 

유통기한은 1985년부터 제조회사나 유통회사가 식품을 판매할 수 있는 기간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소비기한 제도는 국제식품규격위원회가 유통기한을 삭제하고 EU, 미국, 일본 등에서 도입 시행 중입니다. 소비기한은 유통기한보다 보통 20~30% 이상 기간이 증가하기 때문에 식품 섭취 기간이 늘어납니다. 유통기한, 소비기한에 대해 자세히 알아봅니다.

 

 

소비기한 

소비기한 vs 유통기한 

  1. 소비 기한 : 식품 등에 표시된 보관 방법을 준수 시 섭취해도 안전에 이상이 없는 기한
  2. 유통 기한 : 제품의 제조일로부터 소비자에게 판매가 허용되는 기한 

 

소비기한 설정 방법, 기대 효과

1. 품질안전한계 기한

  • 품질안전한계 기한 : 제조, 포장 후 식품 안전 측면에서 품질이 유지되는 기간

 

품질안전한계 기한은 식약처가 제품 특성별 산도, 수분활성도, 보관온도, 유통 조건에 따른 품질 변화 시점과 미생물 시험 등 과학적으로 분석해 안전계수를 설정한 기한입니다. 따라서 품질안전한계 기한이 지난 식품은 품질이 현저히 떨어지고 식중독 위험이 증가합니다.

 

 

 

2. 소비기한 설정 방법

  • 소비기한은 품질안전한계 기한의 70~90% 수준으로 식품을 안전하게 섭취 가능 최대 기간입니다. 
  • 유통기한은 품질안전한계 기한의 50~70% 수준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 소비기한이 유통기한보다 최대 2배 이상 깁니다. 

 

<기간 비교>

유통기한 《 소비기한 《  품질안전한계 기한 

 

 

3. 소비기한 기대효과 

늘어난 소비기한 덕분에 음식물 쓰레기 감소 효과 및 탄소 중립, 산업게의 경제적 비용 편익이 기대됩니다. 

  • 국민 1인당 하루에 버리는 음식물 폐기물 배출량은 310.9g, 하루 총 음식물 쓰레기는 16,000t
  • 음식물 쓰레기 1t 매립 또는 방치하면 1.5t 메탄가스가 발생
  •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만으로 일 평균 24,000t 온실가스 배출
  • 음식물 쓰레기 1%를 줄이면 온실가스 240t 감축 효과가 발생하며 이는 30년 생 소나무 36,000그루가 1년 동안 흡수하는 이산화탄소 양입니다.

 

 

소비기한으로 달라진 식품 표시

소비기한은 2023년 1월 1일 부터 표시제를 실시했지만 올해는 계도기간 1년을 부여합니다. 소비기한제 표시가 시행되면 해당 보관법을 철저히 지켜야 하고 기한이 경과된 식품을 절대 섭취해서는 안 됩니다.  

 

단 가공유, 발효유 외 냉장 우유는 오픈형 냉장고에서 냉장이 철저히 지켜지지 않으면 변질되기 쉽기 때문에 2031년까지 적용 제외됩니다. 

 

식품 유통기한 소비기한 증감 일수
두부 17일 23일 6일
38일 57일 19일
과채음료 11일 20일 9일
발효유 18일 32일 14일
요거트 31일 55일 24일
딸기우유 16일 24일 8일
빵류 20일 31일 11일
어묵 29일 42일 13일
생면 30일 33일 3일
초콜릿칩 쿠키 45일 81일 36일
삼각김밥 48시간 61시간 13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