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청년도약계좌'는 윤 대통령 청년 정책의 핵심 공약입니다. 매월 70만 원씩 5년 동안 저축하면 정부 지원금을 더해서 5천만 원 목돈을 마련하는 것이 '청년도약계좌'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의 실질적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만든 계좌로 두 가지 큰 장점이 있습니다. 전액 비과세 상품이며 정부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정부는 올해 예산 3,678억을 청년도약계좌에 투입할 예정입니다. 개인 소득이 낮을수록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소득 구간별 차등을 두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조건, 금리, 신청 방법을 알아봅니다.

 

 

 

청년도약계좌 조건

 

 

청년도약계좌의 가입조건, 상품 내용, 금리에 대해 알아봅니다. 

 

가입 조건

1) 소득이 있는 일하는 청년 (만 19~34세) 

단, 군 복무자는 복무 기간만큼 연령 계산 시 넣을 수 있다. 최대 6년까지 가능하며 군복무 기간이 6년이라면 최대 만 40세까지 가입 가능합니다.

 

2) 개인소득 : 7,500만원 이하

  • 총 급여 6,000만원 이하 : 정부 기여금 지급 및 비과세 적용
  • 총 급여 6,000 ~ 7,500만원 : 정부 기여금 지급 없이 비과세만 적용

 

3) 가구소득 : 180%이하 충족하는 경우

  • 2인 가구 622만원
  • 3인 가구 798만원
  • 4인 가구 972만원
  • 개인 및 가구 소득은 직전 과세기간(2022년)의 소득이 확정되기 이전까지는 전전 연도(2021년) 과세기간 소득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직전 과세 기간 소득은 2023년 7월 ~8월 확정됩니다.
  •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 과세 대상자는 가입이 제한됩니다. 금융소득(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의 합)이 2천만 원 초과하는 경우 가입할 수 없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상품 조건 및 금리

 

청년도약계좌 상품 조건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 만기 : 5년 
  • 최종 만기 수령액은 본인 납입금, 정부 기여금, 경과이자가 합산된 금액으로 지급되고 이자소득은 비과세 혜택입니다.
  • 기여금 지원 : 가입자의 개인소득 수준, 본인 납부 금액에 따라 정부 기여금이 지급됩니다.
  • 개인소득(총 급여) 4,800만 원 이하인 경우 납입 한도(월 70만)원 미치지 못하는 금액 (월 40~60만원)을 납입해도 정부 기여금을 수령할 수 있게 기여금 지급 한도를 별도 설정했습니다.

 

개인소득(총급여 기준) 본인 납입한도 (월) 기여금 지급한도(월) 기여금 매칭비율 기여금 한도(월)
2,400만원  70만원 40만원 6.0% 2.4만원
3,600만원  50만원 4.6% 2.3만원
4,800만원  60만원 3.7% 2.2만원
6,000만원  70만원 3.0% 2.1만원
7,500만원  - - -

 

  • 개인소득 6,000만 원 이하만 정부 지원금(기여금)이 지급됩니다.

 

 

 

청년도약계좌 금리 

1. 금리 : 가입 후 3년 고정금리, 이후 2년 변동금리 적용 

(저소득층 청년 2400만 원 이하는 일정 수준우대금리(예, 50bp) 부여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협의 중입니다.)

 

2. 은행 별 금리 :

  • 기업은행(5.0%)
  • NH 농협(4.5%)
  •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BNK경남, BNK 부산, DGB대구, 광주, 전북은행(4.0%)
  • 최종금리는 6월 12일 공시될 예정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신청 기간 및 방법

 

1. 신청 기간 : 2023년 6월 ~ 12월 신청

  • 매월 2주 신청, 나머지 2주는 자격 요건 심사 기간입니다.

 

2. 신청 방법

  • 은행비대면 앱
  • 은행:  농협, 신한, 우리, sc 제일, 하나, 기업, kb 국민, 부산, 광주, 전북, 경남, 대구

 

3. 문의 사항

  • 서민금융진흥원 콜센터 1397

 

 

 

 

청년도약계좌 심사 및 중도해지

 

 

1. 청년도약계좌는 가입일로부터 1년 주기로 심사를 진행합니다. 

  • 가입 기간 동안 연봉 가구 소득 변동에 대해 심사해 정부 지원금 지급 여부, 규모를 조정합니다. 

 

2. 특별 중도 해지 사유 

 

  • 특별중도해지 사유에 해당하면 본인 납입금, 정부 기여금이 지급되고 비과세 혜택도 적용됩니다.
  • 특별 중도 해지 사유 : 가입자 사망 및 해외 이주, 가입자 퇴직, 사업장 폐업, 천재지변,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 생애최초 주택구입

 

3. 중복 가입 가능한 상품 vs 불가한 상품

  •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 (재직자)내일 채움공제, 지자체 상품등과 중복 가입 가능합니다.
  • 청년희망적금은 사업 목적이 유사해 청년 희망적금을 해지하거나 만기 후 가입 가능합니다.

 

구분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소득 3,600만 원 이하 7,500만 원 이하
가구소득 미반영 중위소득 180%이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