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서울시는 에너지 요금 인상으로 시민의 경제적 부담을 해소하고자 서울 시민 가정 또는 사업장 중 에너지를 절약 사용하는 곳에 혜택을 부여하는 마일리지를 제공했습니다. 이번에 에코마일리지와 승용차 마일리지가 에코마일리지로 통합되어 시민과 사업장의 편의를 도모했습니다.

 

통합에코마일리지
출처 : 통합에코마일리지

 

에코마일리지는 서울 시민이 가정이나 사업장에서 에너지 사용을 줄이면 마일리지를 주는 제도이고, 승용차 마일리지는 주행거리 감축에 따라 마일리지를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통합 에코마일리지 및 지속(유지) 마일리지가 시행되는 데 자세히 알아봅니다.

 

 

통합 에코마일리지

I. 에코마일리지 vs 승용차 마일리지 개념

에코는 에너지를 줄이고, 승용차는 주행거리를 감축하면 혜택을 지급하는 시민참여 프로그램입니다. 에코와 승용차 마일리지를 개별적으로 운영했는데 두 개를 통합했습니다. 서울시는 통합에코 마일리지를 통해 서울 시민의 탄소 중립 실천을 지원합니다. 

 

1. 에코 마일리지

서울시 내 가정이나 사업장에서 전기, 수도, 도시가스 등 에너지를 절약한 정도에 따라 마일리지를 지급합니다.

 

2. 승용차 마일리지

서울시에 등록된  12인승 이하 비사업용 승용차, 승합차에 해당하며 자동차의 주행거리 감축 정도에 따라 마일리지를 지급합니다.

 

3. 통합 에코마일리지

에코와, 승용차 마일리지의 회원이 통합되고 마일리지는 합산, 사용처도 통합됩니다. 

단, 기존 에코 및 승용차 개별 마일리지제 참여는 유지되고 마일리지제 인센티브도 유지됩니다. 

 

 

II. 통합 에코마일리지 신청 대상 및 방법

통합 에코마일리지는 6월 27일부터 시작되었습니다.

 

1. 통합 에코마일리지 대상 

서울 시민 누구나 가스앱에 가입해 통합에코 마일리지 회원이 될 수 있습니다.

 

  • 대상 : 서울도시가스 예스코, 대륜이엔에스, 귀뚜라미에너지 사용자 
  • 제외 : 코원에너지 서비스 이용자(서초구 일부 지역,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는 2024년 가스앱이 아닌 별도의 시스템을 이용해 서비스될 예정입니다.

 

2. 통합 에코마일리지 신청 방법 

  1. 통합에코 누리집 또는 가스앱에 로그인한다.
  2. 통합 에코 마일리지를 가스앱 캐시로 전환한다.
  3. 가스앱에서 본인계좌로 캐시 인출 또는 도시가스 요금 할인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도시가스사마다 이용 서비스(캐시인출, 요금할인)가 상이합니다.

 

<회원 가입 방법>

  • 신규회원 : 홈페이지 또는 관할 자치구, 주민센터 방문 신청을 통해 통합 에코 회원을 가입한다.
  • 기존 회원 : 최초 로그인 시 통합 에코 회원으로 전환된다.
  • 에코마일리지 에너지 고객번호, 승용차 마일리지 차량번호판, 계기판 사진 등 개별 마일리제 참여 및 평가를 위한 추가 정보를 등록한다.

 

 

III. 지속(유지) 마일리지 신규 도입

에너지를 지속(유지)적으로 절약한 개인회원에게 1만 마일리지를 지급하는 제도를 신규 도입했습니다.

 

  • 에코 지속(유지) 마일리지 : 2024년 4월 최초 지급
  • 승용차 지속(유지) 마일리지 : 2023년 7월 최초 지급 

 

<에코마일리지 지급 기준>

 

연속 2회 이상 에코마일리지를 지급받은 개인회원이 다음 평가에서 5% 미만 0% 초과 시 절약하면 1만 마일리지를 지급하는 방식으로 7월 사용량부터 평가해서 내년 4월 지급합니다.

 

구분 감축률 인센티브 지급액
지속(유지)
마일리지
신설
2회 연속 절감 후 
0 초과 ~5% 미만 절감
1만 마일리지
정기(감축)
마일리지
현행
5~10% 미만 절감 1만 마일리지
10이상 ~ 15% 미만 절감 3만 마일리지
15% 이상 절감 5만 마일리지

 

 

<승용차 마일리지 지급 기준>

서울시 평균 주행거리 11,716km 이하로 운행한 승용차 마일리지 회원에게 지속(유지) 1만 마일리지를 지급합니다.

 

  2개 항목 중 유리한 것 선택 인센티브 지급액
정기(감축) 마일리지
현행
감축률(%) 감축량(km)  
0이상~10%미만 0이상~1,000km 미만 2만 마일리지
10이상~20%미만 1,000이상~2,000km 미만 3만 마일리지
20이상~30%미만 2,000이상~3,000km 미만 5만 마일리지
30% 이상 3,000km 이상 7만 마일리지
지속(유지) 마일리지
신설
서울시 연평균 주행거리 이하 운행 시 1만 마일리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