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서울시는 하반기 지하철, 버스 등 대중교통비 요금을 최대 300원 인상할 예정입니다. 대중교비를 줄일 수 있는 알뜰교통카드를 소개합니다. 알뜰교통카는 대중교통 이용 시 도보나 자전거 등으로 이동한 거리 (최대 800m)에 비례해 최대 20%를 절감하고 마일리지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알뜰교통카드는 2022년도 기준 월평균 13,369원을 절약해 대중교통비의 21.3%를 절감하고 사용자 중 92%의 만족도 효과를 보였습니다. 7월부터 혜택이 추가된 알뜰교통카드 플러스에 대해 알아봅니다.
알뜰교통카드
알뜰교통카드 소개
1. 알뜰교통카드 개념
- 알뜰교통카드는 국민의 대중교통비 절감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해 대중교통 이용 시 이동거리(보행, 자전거)만큼의 최대 20% 마일리지를 적립하고, 카드사에서 최대 10%의 추가 할인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 알뜰교통카드 전체 발급량 중 2030 청년층이 70%이상을 차지합니다. 일반층, 청년층, 저소득층으로 구분하여 적립 혜택이 차등하게 적용되는데 저소득층은 증빙 서류를 없이 자동 인증으로 가입될 수 있도록 3분기부터 적용될 예정입니다.
2. 알뜰교통카드 대상
- 기존 : 신한, 우리, 하나카드,로카모빌리티, 티머니, DGB
- 변경 : 국민, 농협, 비씨, 삼성, 현대카드가 추가되어 총 11개 카드사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3. 알뜰교통카드 적립 대상 및 횟수
- 월 대중교통 15회 이상 이용 시 마일리지 최대 60회 적립 가능 (최소 마일리지 50원 지급)
- 적립금 최대 월 1만 5천 원 ~ 6만 6천 원 적립 가능
알뜰교통카드 적립금 및 마일리지
1. 알뜰교통카드 적립금
- 청년층 : 청년기본법에 따른 만 19세~34세
- 저소득층 : 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기초 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구분 | 2천원 미만 | 2천원~3천원 | 3천원 이상 | 비고 |
일반층 최대 적립금 | 15,000원 | 21,000원 | 27,000원 | 이동거리(최대 800m)에 비례하여 지급 |
청년층 최대 적립금 | 21,000원 | 30,000원 | 39,000원 | |
저소득층 최대 적립금 | 42,000원 | 54,000원 | 66,000원 |
2.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 알뜰교통 마일리지 카드는 일반, 청년, 저소득층에 따라 대중교통 요금과 이동거리에 따라 차등 적립됩니다.
구분 | 2천원 미만 | 2천원~3천원 | 3천원 이상 |
일반층 마일리지 | 250원 | 350원 | 450원 |
청년층 마일리지 | 350원 | 500원 | 650원 |
저소득층 마일리지 | 700원 | 900원 | 1,100원 |
알뜰교통카드 적립 방법, 사용 절차, 지급 방법
1. 알뜰교통카드 적립 방법
- 출발-도착 입력, 즐겨찾기 등록, 도보수로 산출된 마일리 중 가장 큰 금액을 적립
- 출발-도착 입력 시 출발위치~승차 정류장 위치와 하차 정류장 위치 ~도착 위치 직선거리의 1.3배 적립됩니다. 단, 출발-도착 미입력 시 최소 마일리지 50원이 적립됩니다.
- 즐겨찾기 등록 시 등록된 출발 및 도착 위치와 승-하차 정류장 위치의 직선 거리의 1.3배 적립됩니다. 단, 미등록 정류장 이용 시 최소 마일리지 50원이 적립됩니다.
- 신체활동, 건강 등 도보수 수집권한 허용 시 대중교통 이용 위해 이동한 15분 도보수 평균 도보거리를 적용하여 산출합니다. 단, 도보체크 기능이 없을 경우 마일리지가 산출되지 않습니다.
2. 알뜰교통카드 사용 절차
- 알뜰교통 발급 (11개 카드사에서 이용가능하지만, 티머니는 신규 발급이 중단되었습니다.)
- 알뜰 교통카드 앱 설치
- 알뜰교통카드 앱 또는 홈페이지 회원 가입
- 대중교통 이용시 알뜰 교통 카드 결제
- 마일리지 적립방식에 따라 마일리지 산정
- 15회 이용 시 마일리지 지급
3.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지급 방법
- 알뜰교통카드 사용 익월에 청구 할인(신용카드), 계좌 입금(체크카드), 충천(모바일선불카드) 방식 등 카드사 지급 방식에 따라 지급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보험 할증 등급 개선 (0) | 2023.06.28 |
---|---|
만 나이 시행, 계산 방법 (0) | 2023.06.27 |
[청소년 정책] 학교밖 청소년 지원 & 복권기금 꿈사다리 장학금 (0) | 2023.06.22 |
서울형 가사서비스, 가사 간병 방문 지원 사업 (0) | 2023.06.19 |
청년내일채움공제 자격 및 신청방법 (0) | 2023.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