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주택연금은 주택 소유자가 집에 살면서 집을 담보로 제공해 매월 연금을 받을 수 있도록 국가가 보증하는 제도입니다. 주택 연금 조건(가입 요건), 종류, 나이(연령), 담보 제공방식에 대해 알아봅니다.
주택 연금 매월 연금지급액은 소유주택 가격과 가입 시점의 가입자 나이(연령)에 따라 달라집니다.
1. 주택연금 조건(가입요건)
- 부부 중 1명이 대한민국 국민이며 만 55세 이상
- 가입자 또는 배우자가 실제로 거주지(주민등록 전입)로 이용하고 있어야 합니다.
- 부부 기준 공시가격 9억 이하의 주택 또는 주거 용도의 오피스텔 소유자여야 합니다.
- 다주택자는 합산 가격이 9억 이하이면 가능합니다.
- 9억을 초과한 2 주택자는 3년 이내 1 주택 처분 시 가입할 수 있습니다.
- 가입자 및 배우자는 의사 능력 및 행위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단, 치매 등의 사유로 의사 능력 또는 행위 능력이 없거나 부족한 경우 성년 후견제도를 활용해 가입할 수 있습니다.
2. 주택연금 가격 및 나이(연령)
- 주택가격은 공시에서 인정하는 시세를 적용합니다. 아파트는 한국 부동산원 시세, KB 국민은행 시세를 순차적으로 적용합니다. 아파트 이외 인터넷 시세가 없는 주택과 오피스텔은 감정기관의 감정평가를 적용한 시세를 적용합니다.
- 주택연금 나이 : 부부 중 나이가 젊은 연소자 나이를 기준으로 주택연금 나이가 결정되는데 월 지급금은 주택 가격이 동일하면 연령이 높을수록 많아지고 연령이 낮을수록 월 지급금이 줄어듭니다.
3. 주택연금 종류
주택연금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일반 주택연금, 주택담보대출 상환용 연금, 우대형 주택연금입니다.
- 일반 주택연금 : 노후 생활자금을 평생 매월 수령하는 방식의 연금입니다.
- 주택담보대출 상환용 연금 : 연금 대출한도 50~90% 범위에서 일시에 목돈으로 찾아 쓰고 나머지는 평생 매월 연금 수령하는 방식입니다.
- 우대형 주택연금 : 부부 중 1인 이상이 기초연금 수급권자일 경우 일반 주택연금 대비 최대 21% 더 수령할 수 있습니다.
4. 주택연금 담보 제공 방식
주택연금 담보 제공 방식은 두 가지로 나뉩니다. 저당권 방식은 주택 소유자가 소유권을 가지고 공사는 담보 주택에 저당권을 설정하는 방식입니다. 신탁방식은 주택소유자가 주택을 공사에 소유권 이전하고 우선 순익권을 담보로 취득하는 방식입니다.
구분 | 저당권 방식 | 신탁방식 |
담보 제공 | 근저당권 설정 | 신탁등기 |
가입자 사망시 배우자 연금승계 | 소유권 이전등기 절차 필요 | 소유권 이전없이 자동승계 |
5. 보증료
- 보증료는 가입자가 장수하거나 주택가격이 하락했을 때 주택가격을 초과해 발생할 수 있는 손실에 대한 보험으로 두 가지로 나뉩니다.
- 초기 보증료는 한 번 납부하는 것으로 주택 가격의 2% 이내입니다.
- 연보증료는 매월 납부하는 방식으로 대출 잔액의 0.75%입니다.
6. 주택연금 이점
- 추가적 현금 및 예비 자금 확보 : 매월 일정 금액의 추가 현금을 지급받아 노후 생활비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년퇴직 후 소득이 줄어들어도 일정한 현금 흐름 확보가 용이합니다.
- 주택 소유 유지 : 주택 소유자가 주택을 처분하지 않고 주거를 유지하며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다자녀 혜택 - 뉴 다둥이 행복카드, 장기전세 주택 (0) | 2023.05.17 |
---|---|
서울시 청년 부동산 중개보수 및 이사비, 대중교통비 지원 (0) | 2023.05.16 |
경기도 휴가비 지원 신청 및 방법, 대상 (0) | 2023.05.15 |
서울 5월 축제 및 행사 - 서래섬 유채꽃 축제, 중랑 장미 축제, 드럼 페스티벌 (2) | 2023.05.13 |
코로나 마스크 의무 해제, 방역 정책 및 사회적 거리두기 변화 (0) | 2023.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