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장 폴 사르트르는 실존주의 대표 철학자입니다. 사르트르의 생애를 살펴보고 철학 이념, 하이데거 철학과 다른 점, 그의 연인 보부와르와의 철학 이념이 어떻게 상호 작용했는지 작성합니다. 

 

 

1. 사르트르의 생애

장 폴 사르트르는 195년 6월 21일 프랑스 파리에서 태어났는데 부모님 사이의 갈등으로 사르트르는 고독함과 분리감을 경험하며 철학적인 관심을 갖게 됩니다. 

 

프랑스의 명문 학교 안리 사끄스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파리 대학교에 진학해 철학을 전공했습니다. 1929년 논문 '자아의 초월성'을 발표하며 철학계에서 주목받았습니다. 

 

이후 문학과 철학을 결합한 다양한 작품을 창작했고 주요 작품으로는 불침번, 벽, 기행자의 망상, 존재와 무 등이 있습니다. 프랑스의 저명한 철학자로서 대중적 인기와 존경을 받았고 정치활동에도 참여하며 많은 사람에게 영향을 미쳤습니다. 사르트르는 1980년 4월 15일 파리에서 별세했습니다. 

 

 

2. 사르트르의 기본 철학 이념

- 인간의 존재는 본질보다는 존재 그 자체에 의해 결정된다. 사르트르는 인간이 존재를 선택하고 그 선택에 따라 자신의 존재를 만들어 나간다고 믿었습니다. 이는 인간의 자유가 존재의 본질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인간의 존재주의는 사회적, 역사적, 문화적 맥락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인간은 자유로워 보일지라도 그 선택은 그들이 사는 사는 사회나 문화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자유로운 존재인 동시에 이런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서 결정되는 존재라는 걸 강조했습니다. 

 

- '존재는 본질 이전에 존재한다'로 유명한데 인간의 본질은 존재하기 전에는 존재하지 않으며 인간이 자신의 전재를 향해 행동할 때에만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인간은 자신의 존재를 정당화하기 위해 행동하고 그 결과로 자신의 본질을 형성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 인간은 자유로움과 책임을 함께 갖는다. 자유로움으로 인해 자신의 행동의 결과에 대한 책임을 지고 이것이 인간의 본질이라고 했습니다. 

 

- 인간은 고독한 존재로 다른 인간들과의 관계를 통해 자신의 존재를 발견하고 형성할 수 있습니다. 

 

 

3. 사르트르 철학의 장점

- 인간의 존재가 본질이 아닌 존재 그 자체에 의해 결정된다고 믿었으며 인간은 자유로움과 책임성을 갖는다고 봤습니다. 이는 개인의 선택과 행동에 대한 책임을 강조하며 인간의 삶을 더 의미 있는 것으로 만들었습니다. 

 

- 인간이 고독한 존재이며 다른 인간과의 관계를 통해 존재를 발견하고 형성할 수 있다고 했는데 이는 인간의 본질적인 고독을 이해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삶의 방식을 찾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인간의 자유로움이 가장 중요한 속성으로 인간이 자유롭게 선택하고 책임을 져야 한다고 했습니다. 이는 인간의 가치와 삶의 방식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공합니다.

 

 

4. 사르트르 철학의 단점

- 사르트르는 인간의 본질적인 고독함을 강조하다 보니 이는 일부 사람들에게 자기 삶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게 할 수 있습니다. 

 

- 개인의 자유와 책임성을 강조하는데 이는 지나친 개인주의적인 경향을 만들어 사회적인 관계와 상호의존성의 중요성을 간과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이를 어떻게 실천할지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지 않았습니다. 

 

- 사르트르는 삶의 의미와 존재 이유에 대해 비관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인간의 삶에 대한 낙관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어려운 철학적 용어 사용으로 사람들이 접근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5. 사르트르 vs 하이데거 철학 비교

사르트르와 하이데거는 모두 무신록적 실존주의자입니다. 무신록적 실존주의는 실존주의의 한 형태로 신의 존재에 대한 불신 또는 무관심을 바탕으로 인간의 존재에 집중해 인간의 존재 자체를 중심으로 한 철학적 접근 방법입니다 . 

 

장 폴 사르트르는 인간이 존재하기 위해 신의 존재가 아닌 인간의 존재 자체가 중요하다고 했으며 이는 '존재 우선주의'라고 합니다. 인간의 본질이 결정되어 있지 않고 인간 스스로 자신의 존재 의미를 찾아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사르트르는 인간이 자유로움에 대한 책임을 짊어져야 한다고 강조했으며 이런 자유로움과 책임을 통해 인간이 본질적ㅇ린 존재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이데거는 인간의 존재와 이해, 언어와 존재와의 관계 등을 강조하는 존재론적 철학을 대표하는 인물로 존재 이유와 의의미에 대해 고찰하며 언어와 인간 존재의 관계를 분석하빈다. 언어의 한계와 인식의 한계에 대한 문제에 관심을 가졌습니다. 

 

즉, 사르트르는 인간의 자유와 존재 의미에 대한 고찰을 중시하는 실존주의적 입장인 반면 하이데거는 존재와 이해, 언어와 인식 한계를 중심으로 한 존재론적 입장을 고취합니다. 

 

 

6. 사르트르와 시몬 드 보부와르 철학의 상호 관계

사르르트와 시몬 드 보부와르는 계약 결혼으로 유명하며 서로의 철학에 영향을 미친 동료입니다. 보부와르는 인간의 삶과 존재에 대한 깊은 인식과 이해를 바탕으로 자유로운 선택과 행동을 촉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사르트르는 보브와르의 철학에서 자유와 선택의 책임에 대한 개념을 받아들였고 이를 무신론적 실존주의로 발전시켰습니다. 

 

사르트르와 보부와르는 함께 실존주의 운동을 이끌었습니다. 독립적인 철학자였지만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발전적인 방향으로 실존주의를 이끌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