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토마스 아퀴나스 13세기 가톨릭 신학자이며 이탈리아 철학자로 유명한 사상가입니다. 

 

토마스 아퀴나스 생애, 철학 이론, 강점 및 한계를 알아봅니다. 

 

1. 토마스 아퀴나스 생애

토마스 아퀴나스는 1225년 이탈리아 남부 로카세카에서 태어났습니다. 부모는 귀족 가문 출신이었지만, 아퀴나스는 어릴 때 질병과 가난으로 힘든 시절을 보냈습니다. 그러나 부모는 그의 재능을 알아보고 교육비를 대주고 토마스는 아비토 성당 학교에 입학했고 독창적인 철학적 사고력을 갖추는 시기입니다. 

 

아퀴나스는 파리 대학에서 철학, 신학을 공부했고 아리스토텔레스와 함께 그리스 철학의 사상과 방법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며 기독교적으로 해석하며 철학적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그리스도교 전통에 기반을 둔 철학 시스템을 개발해 신학대전을 작성했습니다. 아퀴나스는 이탈리아, 프랑스, 이집트를 여행하며 다양한 문화와 종교를 통해 철학적 아이디어 영감을 얻었고 이탈리아 성당 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철학적 사상도 가르쳤습니다. 

 

아퀴나스는 중세 철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는데 철학을 중세 유럽 문화권에 도입했습니다. 그의 철학이 기독교적 관점에서 해석되면서 철학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또한, 아퀴나스는 교황 요한 21세의 교리 교정위원회에서 활동하며 교황과 깊은 관계를 맺었습니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1274년 돌연 사망했습니다. 당시 교황 요한 21세의 명으로 리옹의 파리 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었습니다. 1567년 성인으로 추대받았습니다. 

 

 

2. 토마스 아퀴나스 철학 이론

- 도덕 철학 : 아퀴나스는 인간 행동의 근본 의미를 파악하고 이를 인간 행동의 윤리적 기초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했는데 이를 신학적 도덕 철학이라고 부릅니다. 인간 행동은 적절한 목적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이성적 판단과 인간적 미덕이 함께 발전해야 합니다. 이성과 미덕은 인간 본성에 뿌리를 두고 있는데 이런 본성은 신이 창조한다고 믿었습니다. 아퀴나스는 '사도적 미덕'이란 개념을 제시했는데 신앙과 도덕을 결합해 인간 삶을 지도하는 데 활용했습니다. 

 

사도적 미덕은 성서 '고린도전선 13장 13절'에서 언급되는 믿음, 소망, 사랑의 세 가지를 의미합니다. 세 가지 미덕을 기반으로 다른 미덕을 설명했고 모두 하나님을 향한 사랑에서 비롯된다고 믿었습니다. 이런 사랑은 하나님과 인간, 인간과 인간 사이에 서로 이해하고 돕는 관계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 신학 철학 : 신의 존재, 성질, 신앙의 경험, 구원, 윤리, 예수 그리스도의 관계를 탐구한 것이 신학 철학입니다. 이론적 논의뿐만 아니라 신앙 경험 및 교회 교리의 관점도 반영합니다. 아퀴나스는 천주교 교리의 권리를 인정하는 권위주의적 철학을 추구하면서도 합리적 해석을 위해 노력했습니다. 

 

아퀴나스는 신앙과 이성을 조화시켜 신앙이나 경험이 비합리적이거나 모습 되지 않도록 타당하게 설명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신앙과 이성의 협동을 강조하며 둘의 조화를 통해 하나님의 존재와 성질,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 작업, 인간 삶과 교리에 대해 깊게 다뤘습니다. 

 

 

3. 토마스 아퀴나스 철학 강점

- 철저한 논증과 분석 능력 : 토마스 아퀴나스는 철학 주제를 다룰 때 늘 철저한 논증과 분석을 통해 주장을 뒷받침했고 이는 철학의 합리성과 타당성을 부여했습니다. 

 

- 철학의 종합적 시각 : 중세 유럽 철학적 전통에서 비롯된 다양한 철학적 개념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자신만의 철학적 시각으로 통합시켰는데 이는 유연하게 변화할 수 있는 강점이 있습니다. 

 

- 신앙과 이성의 조화 : 토마스 아퀴나스는 신앙적 믿음을 가지면서도 이성적인 방식으로 분석하고 이해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신앙과 이성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강점을 갖게 된 것이 그의 철학 특징입니다. 

 

- 현실성과 실용성 : 추상적인 이론보다 현실적인 문제와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 해결점을 찾는 데 주안점을 뒀습니다. 

 

 

4. 토마스 아퀴나스 철학 한계

- 철학적 자유에 대한 한계 : 그의 철학은 가톨릭 신앙을 바탕으로 했기 때문에 철학적 자유에 대한 제한 및 한계가 있습니다. 철학적 자유가 신의 뜻과 일치하도록 행동하는 것이라고 선을 그었는데 인간이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영역이 제한됩니다. 또한, 가톨릭 교리에 따라 순종을 강조했고 자유의 의미가 인간이 자유롭게 선택하는 것이 아닌 올바른 선택이라고 봤습니다. 따라서 신앙을 중시한 결과 철학적 자유에 대한 한계가 존재합니다. 

 

- 인간 이성에 대한 과대평가 : 인간 이성을 중요한 가치로 여겼지만 과대평가하면서 인간의 한계를 무시하는 경향이 발생합니다. 이성을 통해 세상을 이해하고 참된 지식을 얻을 수 있다고 믿었지만, 이성만으로 모든 것을 이해하거나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아퀴나스가 신앙과 철학적 합리성의 조화를 위해 노력했기 때문입니다. 

 

- 경험적 증거 부족 : 아퀴나스는 이성적으로 추론되는 것이 경험적 증거보다 더 중요하다고 봤습니다. 경험적 증거가 부족한 상황에서 이성을 사용해 논리적으로 추론하는 방법을 종종 사용했는데 일부 철학자들은 그의 철학이 과학적 방법론과 멀다고 비판했습니다. 

 

- 현실적 한계 : 아퀴나스의 철학은 중세 시대 ㄷ사상과 문화적 배경을 갖고 있지만, 현대와 매우 다릅니다. 현대는 중세 시대와 다른 사회, 문화, 과학, 기술, 인식론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퀴나스의 철학이 현대적 문제와 상황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현실적 한계를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