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요한 볼프강 폰 괴테는 독일의 대표적 문학가이자 유럽 문학상에 영향을 끼친 인물입니다. 

 

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생애, 철학 이론, 강점 및 한계, 그의 대표작 파우스트에 대해 알아봅니다.

 

 

1.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생애

괴테는 1749년 8월 28일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태어났습니다. 아버지는 법조인이고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습니다. 괴테는 어린 시절부터 과학, 문학, 철학, 예술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에 관심을 가졌고 재능을 발견했습니다. 

 

청년 시절에 유럽 여행을 다니며 다양한 경험을 쌓았고 1770년대 초반 이탈리아에 머무는 동안 이탈리아 문학에 관심을 가지며 그의 예술적 영감에 영향을 크게 끼쳤습니다. 괴테의 시와 소설이 큰 인기를 거두었는데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 '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시대' 등이 문학적 업적으로 평가받았고, 철학적 이해도를 넓힌 '친화력'의 저작물도 발표했습니다. 괴테는 알렉산더 폰 훔볼트와 지질학 및 생물학 연구도 시행합니다. 

 

대표작 '파우스트'는 18세기 말~19세기 초에 걸쳐 작성된 작품으로 1808년 최종 완성되었습니다. 파우스트는 지식에 대한 굶주림과 인생에 대한 깊은 의문으로 괴로워하는 학자로서 삶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며 지은 책입니다. 파우스트는 괴테 창작 활동의 정점으로 평가되며 인간 존재와 인생의 의미, 불가사의한 지식에 대한 깊은 통찰이 담겨 있습니다. 

 

괴테는 1791년~1817년까지 바이마르 국립극장 극작가로 활동했습니다. 다양한 장르 및 주제의 연극을 창작했는데 바이마르 국립극장은 당시 유럽에서 가장 중요한 극장 중 하나였습니다. 독일 로맨티시즘 문화의 발전과 현대 연극 발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1810년대 후반에는 색채이론이란 책을 출판했는데 당시에는 주목받지 못했지만 현대 미술, 미디어, 마케팅, 디자인 등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색채론은 색깔의 심리적 효과와 감정적 의미를 탐구한 이론입니다. 

 

70대 중반 이후부터 역사적인 주제의 책을 출간하거나 파우스트 2부를 창작했습니다. 1832년 3월 22일 독일 바이마르에서 중풍으로 사망했습니다. 

 

 

2.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철학 이론

- 형이상학적 인간론(Anti-Metaphysical Anthropology) : 인간의 존재는 계산이나 분석을 통해 설명될 수 없다는 것을 주장하며 복잡하고 다양한 상황에서도 직관적으로 판단하고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존재로 이해했습니다.

 

- 예술(미학) 철학(Aesthetic Philosophy) : 예술(미학)을 인간의 삶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보았습니다. 즉, 예술이 인간의 정신과 감정을 일깨우고 현실 세계를 넘어서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믿었고 예술작품의 감상과 창작에 대한 철학적 고찰을 다뤘습니다. 

 

- 세계사 철학(Philosophy of World History) : 괴테는 역사를 단순히 사건의 연속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자유와 도덕적 가치에 대한 진행으로 이해하며 세계 역사의 방향과 의미를 고찰했습니다. 역사적 사건들을 도덕적 관점에서 평가하고 세계사의 진행방향을 예측하려고 노력했습니다.  

 

 

3.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철학 강점 

- 실용주의적 자연철학 : 자연과 인간, 예술과 과학 등의 분야에서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그것들이 실생활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염두에 뒀습니다. 이런 실용주의적 자연철학은 괴테가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할 수 있는 창의성과 혁신력의 원동력입니다. 

 

- 삶과 존재에 대한 깊이 있는 철학적 탐구 : 인간의 삶과 존재에 대한 본질적인 질문을 다루면서 인간의 감정과 심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실적 대안 제시를 목표로 삼았습니다. 이런 접근 방식은 괴테의 문학 작품에서 표현한 인물들의 내면의 섬세한 깊이와 묘사가 돋보이고 철학적인 문제를 다룰 때도 현실과 연결된 인식이 높았습니다. 

 

- 전통과 연속성 유지 : 유럽 철학의 전통과 역사를 깊이 이해했고 그것들을 현대적 시각에서 해석하고 새롭게 발전시켰습니다. 이런 접근은 괴테가 철학적 아이디어를 제시할 때 과거의 철학적 전통을 고려하면서 새로운 방식의 접근도 접목하며 현대적 시각에서 철학적 의미를 만들었다는 데 있습니다. 

 

 

4.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철학 한계

- 괴테의 철학은 개인적 경험과 인식에 기반해 제시되기 때문에  일반적이거나 보편적인 법칙의 의미보다 개인적인 성격, 감정, 경험 등에 뿌리를 둔 한계를 가집니다. 

 

-  괴테는 종종 다양한 주제의 철학을 다루는데 이는 일관성이 부족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실제로 그의 각각의 철학 주제들이 서로 연관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괴테는 예술과 문학에서 가져온 개념들을 철학적 의미로 종종 사용하는데 이런 방식이 일반적인 철학적 개념들과 다른 문화적 의미를 내포할 수 있습니다. 

 

- 괴테의 철학은 복잡하고 난해한 형태를 종종 보입니다. 글쓰기 스타일도 어렵게 느껴지기도 하고 철학적 발상들이 해석하기 어려운 경우도 많습니다. 이런 요소로 괴테의 철학적 영향력을 제한할 수 있다는 한계를 지닙니다. 

 

 

5. 요한 볼프강 폰 괴테 '파우스트' 

- 괴테는 파우스트를 매우 오랜 기간 완성했으며 1부는 1808년, 2부는 1832년 출판되었습니다. 독일 로맨틱 주의 대표작으로 평가되며 문화적인 영향력도 광범위합니다. 또한, 독일 국가의 통합과 국민정신의 구축에도 큰 역할을 했습니다. 

 

- 파우스트는 인간의 탐구와 욕망에 대한 깊이 있는 고찰, 독일의 역사와 문화, 유럽의 광범위한 문화적 풍경을 담아냈습니다. 유럽의 전설적인 인물 요한 파우스트가 주인공입니다. 파우스트는 자신의 한계와 삶에 의문을 갖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마법과 악마와 거래를 시도합니다. 이 거래를 통해 절대적인 지식과 인간의 한계를 초월한 존재로 자신을 찾고자 했습니다. 

 

- 파우스트는 내면의 탐구와 성장을 중심으로 다양한 주제를 다룹니다. 인간의 욕망과 탐구에 대한 질문, 인간의 삶과 사랑 및 성취에 대한 열망과 희생의 의미, 신과 악마의 존재와 그들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사유합니다.